중고생 영어 upgrading 학습법 (제 01 회)
==
<영단 바르게 읽기>
reading english correctly
==
<이래서 이 글을 썼다>
인생 승패의 기반은 중고생 때 이루어진다.
the foundation for success or failure in life is established
in middle and high school.
영어는 세계적으로 공통어가 되면서
누구나 조금씩은 알아야 되고 영어가 잘 되면
자신의 하는 일에 직종에 상관없이 많은 도움이 된다.
초중고 10년을 영어 기초를 다진다.
이 기간 인생에서 첫발을 어떻게 디디고 일어설 것인지 방향이 정해진다.
영어를 제대로 배워 나의 삶을 멀리 넓게 보는 성공적인 삶이 되게 하자.
무엇이나 기초가 아주 중요하다.
무조건 남들 따라 하지 말고 자신에게 맞는 학습법을 찾자.
the basics are very important for anything.
dont blindly follow others, but find a study method that suits you.
--
==이 글의 순서==
제1부 : 서론
제2부 : 영어 발음부호 발성(음)법 해설
제3부 : 읽기 힘든 영단 바르게 읽기
==
==
제 1 부 : 서론(序論)
<서론(序論)/ in.tro.duc.tion/ìn.trǝ.dʌ́k.ʃən/>
==
영어는 바른 단어 읽기에서 시작한다..
공부한 만큼 결과가 오지 않는 것은
개인적인 사유도 있겠지만 학습법이 문제다.
.
어떻게 배웠고 배우고 있는지 자신을 점검 해보자.
어학원 등의 학습지도 실태를 보자.
.
[실태](1) :
문제 : 모음을 a 아 e 애 i 이 o 오 u 우 —라고 쓰고 설명을 한다.
답 : 기본 모음부터 틀리게 가르치고 있다.
이는 영한사전이 처음 한국인이 일본에 가서 일본어를 배우고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이 영한사전의 태동으로 이는 일본식 영어의 잔재다.
모음은 기본적으로 이렇게 가르쳐야 한다.
a/ei/[애이] e/i:/[이이] i/ai/[아이] o/ou/[오우] u/ju:/[이우우]
.
[실태](2) :
문제 : 어떤 모음은 일정하게 나는 것처럼 가르친다.(시중 파닉스 학습)
예 : ow 는 /au/[아우]로 난다고 가르친다.
답 : 일률적으로 /au/[아우]로 나지 않고 단어에 따라 발음이 다르다.
예 : now/nau/[나우] know/nou/[노우]
.
[실태](3) :
문제 : flower(꽃) 와 flour(곡분) --둘의 발음이 같다고 가르치고 있다.
이유 : 둘의 발음부호가 같다는 것이다.
그들은 발음부호를 제대로 읽질 못하고 있다.
답 : 전자는 두 음절 단어이고 후자는 한 음절 단어로
강세가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다.
또한 영한사전의 발음부호 표기가 flour/flauǝr/로 잘 못 되어있다.
미 원음과 같이 하려면 /flauǝr/ or /flaur/로
/ǝ/를 사선으로 하거나 표기 하지 않아야 한다.
.
[실태](4) :
문제 : “미국인도 쓰지 않는 발음부호 우리가 어렵게 왜 쓰나?” 라고 한다.
답 : 발음부호란 외국인이 영어 음을 일정하게 배우기 위해 만든 것으로
소리를 일정 부호로 옮긴 것, 외국인 전용 학습법이다.
영미 자국 국민은 이를 배우지도 않고 쓰지도 않는다.
우리(한국인)에겐 영어는 외국어요 우리는 외국인이다.
.
[실태](5) :
문제 : 외래어 표기법에 의한 영어 발음부호의 한글 표기 문제
“[a]아 [e]애 [i]이 [o]오 [u]우 [ə]어 [ʌ]어 [ɔ]오 [ɛ]에 [æ]애”
이렇게 하고 있으니 어찌 영어 말이 되겠는가?
답 : 1) [o]오 = 란 음은 없다.
[o]는 /ou/[오우]로 나오고
[ɔ]는 [오^어]로 나오는데 이는 [오]하는 입을 만들고
소리를 내자 마자 [어]하여 둘 중 어는 것도 아닌
둘이 섞인 것 같은 하나의 발음이다.
2) [ə]어 = [ʌ]어 = 둘이 중복 되었다.
[ə]어는 맞다.
[ʌ]는 [어]하면서 바로 [아]하여
둘이 섞인 둘 중 어는 것도 아닌 하나의 발음이 되어야 한다.
3) [e]애 = [æ]애 = 둘이 중복 되었다.
[e]애는 맞다.
[æ]애는 [애]하면서 바로 [아]하여
둘이 섞인 하나의 발음으로 둘 중 어는 것도 아니다.
표기는 /æ/[애^아]로 하면 된다.
4) [에]와 [애]는 어떻게 발음하면 구분이 되나?
어느 한쪽은 잘 못 된 표기가 아닌가?
한글 토를 붙이려면 가능하면 발음부호 43개간에 중복이 없어야 한다.
단 [ɛ]는 [e]와 같이 [애]로 동음으로 해도 무방하다.
==